한국과 세계/한국사랑

[스크랩] 고구려는 중국 지방정권? 중국 정사 어디에도 안 나와

泉玟 김동석 2006. 9. 28. 06:51
[중앙일보 2006-09-13 10:02]    

[중앙일보 기선민.최민우] 고대사를 넘어 한국사 전체의 독자성을 무시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린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는 역사적 사실과 사료에 어긋나는 '억지 주장'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구려사 전공자 모임임 고구려연구회(회장 한규철 경성대 교수)가 14일 오전 10시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주제로 여는 학술토론회에서 밝혀지는 사실들이다.

한국 학자들은 동북공정을 다루는 중국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중심에 최근 실린 17개 논문을 시대로 5개 주제로 나눠 분석, 평가했다. 동북공정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대응이 본격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서길수 서경대 교수는 "동북공정은 역사 왜곡을 넘어 역사 침탈의 수준까지 진행됐다"고 비판했다. 중국 측 주장에 대한 한국 학자들의 반론을 들어본다.

◆ 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권?=중국은 2001, 2003년 잇따라 '고대 중국 고구려역사 총론'과 '고대 중국 고구려역사 속록'을 냈다. 고구려를 중국 고대사로 편입했다. 고구려는 소위 중국의 중원 왕조에 조공을 하고 신하로서 활동한 지방정권이라고 못박았다. 독립국가로서의 고구려를 부정한 꼴이다.

그러나 중국사를 조금만 들여다보면 주장의 허구성을 금세 알아챌 수 있다. 고구려가 존속했던 705년 동안 중국에선 35개 국가가 이합집산했다. 또 그 가운데 70% 가까운 24개 국가가 50년도 채우지 못하고 사라졌다. 200년을 넘긴 나라는 한나라.당나라 단 두 곳뿐이었다. 게다가 35개국의 절반가량은 중국의 한족이 아닌 북방민족이 지배한 나라였다. 서길수 교수는 "중국 주장대로라면 지방정권(고구려)은 705년간 태평성대를 누리고, 중앙정부는 수없이 존망을 계속했다는 우스꽝스러운 논리가 된다"고 비판했다. 고구려는 당당한 독립국가이자 동아시아의 강국이었다는 것이다.

동북공정의 핵심 주장은 또 "고구려는 중국 땅에 세워졌다"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인은 대부분 중국으로 들어왔다"로 요약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옛 고구려 땅에 남았던 고구려 유민들이 발해 건국의 주역이 된 건 누구나 부인할 수 없을 것"이라며 "중국 학자들은 주변 국가의 연구를 전혀 참고하지 않고 자기들의 일방적 주장만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 중국도 조공을 바쳤다='역대 왕조의 동북변방통치 연구'라는 논문을 보면 조공.책봉 여부로 중국과 변방 민족의 예속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남송의 고종은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를 향해 스스로 신하를 칭하며 조공을 바쳤다. 후진(後晉)의 고조도 거란 태종에게 자신을 '아들 황제'라고 표현했다.

중국은 또 고조선-예맥-부여-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한국 고대국가의 연속성을 부정한다. 김위현 명지대 명예교수는 "고조선.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권이었으면 중국 정사(正史)에 기록돼야 마땅한데, 야사인 '사이열전(四夷列傳)' '사예열전(四裔列傳)'에서만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이 수백 년 지난 지금 야사를 들고 일어선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또 '고대민족 발전사'라는 논문에서는 화하계(華夏系)라는 명칭으로 동북 사대족계를 한족계.숙신계.예맥계.동호계로 나눴다. 부여나 고구려를 아예 제외시킨 것. 김 교수는 "중화민족과 동북을 억지로 연결한 엉터리 분류다. 부여나 고구려에 대한 용어를 가급적 쓰지 않으려는 의도가 드러난다. 중국 측 입맛에 맞는 일부 사료만 뽑아내 침소봉대한 경우"라고 비판했다.

◆ 조선과 중국의 국경은?=중국은 '청대 압록강 유역의 봉금(출입제한지역)과 개발 연구'란 논문에서 "명조 중기 이후 압록강과 두만강이 조선과 중국의 국경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사실이다. 양국 사이에는 어떤 국경 조약도 체결된 적이 없다.

중국 역사서에도 명조 시대엔 유조변(대나무로 친 울타리)을 군사력이 미치는 지역이라고 규정돼 있다. 당시 유조변은 현재 압록강 북쪽 먼 곳에 설치됐다. 러시아 학자 멜리호프도 유조변을 양국의 국경으로 설명했다. 박선영 포항공대 교수는 "압록강과 두만강을 국경으로 보는 중국의 주장은 견강부회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기선민.최민우 기자 murphy@joongang.co.kr

[내 손안에 정보 조인스 모바일 2442+ NATE/magicⓝ/ez-i]

[ⓒ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한민족의 뿌리와 미래
글쓴이 : 빛의후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