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와 해미읍성
해미읍성
서산 저산성 산지대에 읍도 아닌
해미읍성에 병마절도사영되어
서해안 유,무인도 29개와
가야산 팔봉산 성왕산을 등을 업고서는
고즈녁히 자리한 성을 돌다 보면
왜적이나 외침을 막는 것으로 충분한곳
절도사의 저택으로도
병사들의 훈련장으로도 손색이 없다
요즈음 성주변 주민들 아침저녁 한바퀴 돌며
서산의 해지고 해뜨는 모습 보며
조상의 은덕도 받으며
부모 자식간에 아옹다옹하며 오늘도 산단다
성입구에 들어서 감옥이라는게 있는데
선교자들의 순교함도 있는곳이라
영국 여왕이 다녀가며
빵을 사서 드시며 순교자의 넋을 기도 드려단다
삼백년 회화 나무가 똑똑히 기억하며 초병서며
모진 세월속에 회안이 서려 아픔이 컷나보다
모습이 초조하여 보기도 애련하다
오백년 느티나무 절도사의 관아 복원되어
정자 오르내리며 서산(瑞山)의 상서로움을 보인다
소나무와 대나무 숲이 절개를 지키며
참나무 삼정승과 육조판서 9그루가 평지 능선위에서
서산마을을 내려다 보며
참다운 소나무와 대나무 어우러져 있다
사적 제116호. 해미는 1414년(태종 14)에 충청도 덕산으로부터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옮겨온 곳으로,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한 1651년(효종 2)까지 군사적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해미읍성은 1491년(성종 22)에 축조되어 서해안 방어를 맡았던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3,172척, 높이가 15척, 성 안에는 3개의 유물과 군창이 설치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6,630척으로 보로 계산하면 2,219보가 되고 높이는 13척, 치성은 382첩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고 했다. 이 기록을 통하여 볼 때 해미읍성의 규모가 훨씬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에 이 성을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읍성의 표본으로 삼아 사적으로 지정하고 보수공사를 하는 한편, 성 안팎에 무질서하게 자리잡은 민가를 철거·이전시키고 종합적인 보존계획을 세웠다. 1974년에 동문·서문이 복원되었으며 1981년에는 성 안의 일부를 발굴한 결과 관아 터가 확인되었다.
관련 멀티미디어1개
서산시
Seosan-si , 瑞山市
요약 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시.
출처 : doopedia.co.kr
면적(㎢) 740.48
행정구분 1읍 9면 5동
꽃 국화
나무 소나무
새 가창오리와 장다리물떼새
홈페이지 http://seosan.go.kr
인구(명) 167,532(2014년)
행정관청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관아문길 1(읍내동 492) 지도
동쪽은 당진시·예산군, 남쪽은 홍성군, 서쪽은 태안군에 접하고, 북쪽은 아산만에 면한다. 1읍 9면 5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서산시 읍내동 492번지이다.
태안반도의 동쪽에는 가야산지(伽倻山地)가 있고, 이곳으로부터 서쪽으로 저구릉성 산지가 뻗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 팔봉산(362m)·성왕산(252m) 등이 있다.
이곳에서 산지가 사방으로 뻗치면서 침식되어 수많은 만입과 반도, 유인도 5개, 무인도 24개 등 크고 작은 섬들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해발고도 100∼300m 내외의 저산성 산지들이 곳곳에 분포되어 완사면 및 구릉지들이 있을 뿐, 큰 하천과 퇴적평야의 발달은 미약하다.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서산층군에 속하는 규암 및 편암으로 이루어져 소하천 연변에는 충적층이 분포하는데 해안지방의 충적층은 간석지퇴적물이 대부분이다.
해안은 모식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굴곡이 심하다. 조석간만의 차이가 심하고 수심이 얕다. 연평균기온은 11.7℃이며, 1월 평균기온 -1.9℃, 8월 평균기온 25℃(평균값 기준)를 나타낸다. 연평균강수량은 1,232.1mm이다. 시를 상징하는 꽃은 국화, 나무는 소나무, 새는 가창오리·장다리물떼새이다.
행정구역
고북면, 대산읍, 부석면, 성연면, 운산면, 음암면, 인지면, 지곡면, 팔봉면, 해미면
가야산, 도비산, 삼준산, 석문봉, 일락산, 팔봉산
덕산도립공원, 용현계곡 삼림욕장
문화유적
개심사 명부전, 개심사 심검당, 개심사 영산회괘불탱, 명종대왕태실 및 비, 문수사 극락보전,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백암사지,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비, 보원사지 당간지주, 보원사지 석조, 보원사지 오층석탑, 부석사, 부성사, 서산 개심사 대웅전, 서산 관아문 및 외동헌, 서산 김기현가옥, 서산 김두징 묘비, 서산 동문동 성당, 서산 둔당리 지석묘, 서산 마애삼존불상, 서산 명지리 고분군, 서산 박첨지놀이, 서산 보원사지, 서산 상홍리 공소, 서산 숭덕사,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서산 해미읍성, 서산객사, 서산향교, 석남리 석불입상, 성암서원, 송곡서원, 윤시영선생홍양일기, 읍내리 귀부석, 일락사 대웅전, 일락사 범종, 정순왕후생가, 정충신묘, 정충신사당(진충사), 정충신장군유품, 천장사 칠층석탑, 해미 휴암리 유적, 해미향교
문화시설 안견기념관
관공서 대산지방해양항만청, 서산시청
학교
서동초등학교, 서산여자중학교, 서산중학교, 서산초등학교, 성연초등학교, 인지초등학교, 한서대학교
교통 29번국도, 38번국도, 45번국도
종교 간월암, 개심사, 개심사 명부전, 개심사 심검당, 망일사, 문수사, 문수사 극락보전, 부석사, 삼길사, 서산 개심사 대웅전, 일락사 대웅전, 천장암
© NAVER Corp.NAVER3.2km
두산백과 두산백과
서산시와 해미읍성
해미읍성
서산저산지 읍도 아닌
해미읍성에 병마절도사영되어
서해안 유무인도 29개와
가야산 팔봉산 성왕산을 등을없고
고즈녁히 자리한 성을 돌다 보면
왜적이나 외침을 막은 것으로 충분하다
절도사의 저택으로도
병사들의 훈련장으로도 손색이 없다
성주변 주민들 아침저녁 한바퀴 돌며
서산의 해지고 해뜨는 모습 보며
조상의 은덕도 받으며
부모 자식감에 아옹다옹하며 오늘도 산단다
성입구에 들어서 감옥이라는게 있는데
선교자들의 순교함도 있는곳이라
영국 여왕이 다녀가며
빵을 사서 드시며 순교자의 넋을 기도 드려단다
삼백년 회화 나무 똑똑히 기억하며
모진 세월속에 회안이 서려있고
오백년 느티나무 절도사의 관아 복원되어
정자 오르내리며 서산(瑞山)의 상서로움을 보인다
소나무와 대나무 숲이 절개를 지키며
참나무 삼정승과 육조판서 9그루가 평지 능선위에서
서산마을을 내려다 보며
참다운 소나무와 대나무 어우러져 있다
사적 제116호. 해미는 1414년(태종 14)에 충청도 덕산으로부터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옮겨온 곳으로,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한 1651년(효종 2)까지 군사적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해미읍성은 1491년(성종 22)에 축조되어 서해안 방어를 맡았던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3,172척, 높이가 15척, 성 안에는 3개의 유물과 군창이 설치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성의 둘레가 6,630척으로 보로 계산하면 2,219보가 되고 높이는 13척, 치성은 382첩으로 되어 있으며, 사방에 문이 있다고 했다. 이 기록을 통하여 볼 때 해미읍성의 규모가 훨씬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에 이 성을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읍성의 표본으로 삼아 사적으로 지정하고 보수공사를 하는 한편, 성 안팎에 무질서하게 자리잡은 민가를 철거·이전시키고 종합적인 보존계획을 세웠다. 1974년에 동문·서문이 복원되었으며 1981년에는 성 안의 일부를 발굴한 결과 관아 터가 확인되었다.
관련 멀티미디어1개
서산시
Seosan-si , 瑞山市
비슷한 글8
Data Lab
의견없음담기보내기폰트설정 메뉴
요약 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시.
서산시이미지 갤러리 가기
서산시
출처 : doopedia.co.kr
면적(㎢) 740.48
행정구분 1읍 9면 5동
꽃 국화
나무 소나무
새 가창오리와 장다리물떼새
홈페이지 http://seosan.go.kr
인구(명) 167,532(2014년)
위치 충청남도 서북부에 있는 시 지도
행정관청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관아문길 1(읍내동 492) 지도
동쪽은 당진시·예산군, 남쪽은 홍성군, 서쪽은 태안군에 접하고, 북쪽은 아산만에 면한다. 1읍 9면 5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청 소재지는 서산시 읍내동 492번지이다.
태안반도의 동쪽에는 가야산지(伽倻山地)가 있고, 이곳으로부터 서쪽으로 저구릉성 산지가 뻗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 팔봉산(362m)·성왕산(252m) 등이 있다. 이곳에서 산지가 사방으로 뻗치면서 침식되어 수많은 만입과 반도, 유인도 5개, 무인도 24개 등 크고 작은 섬들을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해발고도 100∼300m 내외의 저산성 산지들이 곳곳에 분포되어 완사면 및 구릉지들이 있을 뿐, 큰 하천과 퇴적평야의 발달은 미약하다.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서산층군에 속하는 규암 및 편암으로 이루어져 소하천 연변에는 충적층이 분포하는데 해안지방의 충적층은 간석지퇴적물이 대부분이다.
해안은 모식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굴곡이 심하다. 조석간만의 차이가 심하고 수심이 얕다. 연평균기온은 11.7℃이며, 1월 평균기온 -1.9℃, 8월 평균기온 25℃(평균값 기준)를 나타낸다. 연평균강수량은 1,232.1mm이다. 시를 상징하는 꽃은 국화, 나무는 소나무, 새는 가창오리·장다리물떼새이다.
행정구역
고북면, 대산읍, 부석면, 성연면, 운산면, 음암면, 인지면, 지곡면, 팔봉면, 해미면
자연
가야산, 도비산, 삼준산, 석문봉, 일락산, 팔봉산
관광
덕산도립공원, 용현계곡 삼림욕장
문화유적
개심사 명부전, 개심사 심검당, 개심사 영산회괘불탱, 명종대왕태실 및 비, 문수사 극락보전,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백암사지,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비, 보원사지 당간지주, 보원사지 석조, 보원사지 오층석탑, 부석사, 부성사, 서산 개심사 대웅전, 서산 관아문 및 외동헌, 서산 김기현가옥, 서산 김두징 묘비, 서산 동문동 성당, 서산 둔당리 지석묘, 서산 마애삼존불상, 서산 명지리 고분군, 서산 박첨지놀이, 서산 보원사지, 서산 상홍리 공소, 서산 숭덕사,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 서산 해미읍성, 서산객사, 서산향교, 석남리 석불입상, 성암서원, 송곡서원, 윤시영선생홍양일기, 읍내리 귀부석, 일락사 대웅전, 일락사 범종, 정순왕후생가, 정충신묘, 정충신사당(진충사), 정충신장군유품, 천장사 칠층석탑, 해미 휴암리 유적, 해미향교
문화시설
안견기념관
관공서
대산지방해양항만청, 서산시청
학교
서동초등학교, 서산여자중학교, 서산중학교, 서산초등학교, 성연초등학교, 인지초등학교, 한서대학교
교통
29번국도, 38번국도, 45번국도
종교
간월암, 개심사, 개심사 명부전, 개심사 심검당, 망일사, 문수사, 문수사 극락보전, 부석사, 삼길사, 서산 개심사 대웅전, 일락사 대웅전, 천장암
연관목차
0. 서산시
1. 서산시의 연혁
2. 서산시의 산업
3. 서산시의 교통관광
4. 서산시의 사회문화
서산시 지도
서산시
© NAVER Corp.NAVER3.2km
지도보기
이미지(11)
서산시청
서산시청
팔봉산
팔봉산
정순왕후생가 보호수
정순왕후생가 보호수
해미향교
해미향교
더보기
참조항목
가로림만, 가야산, 천수만, 태안반도
역참조항목
고북면, 대산읍, 덕산도립공원, 부석면, 북고산성, 서산군, 성연면
카테고리
지역 > 아시아 > 한국 > 충청남도
세계지명 > 아시아 > 한국 > 충청남도
출처
두산백과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