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문학/참고자료

예술 심리학 참고 자료

泉玟 김동석 2012. 12. 22. 03:11

 

예술 심리학

 

김소연 교수 강의 내용중에서

 

서울 디지탈 대학교 2012년 겨울 계절학기 과목으로 강의를 듣다

들으면서 강의 내용중이나 교재에서 옜성인들의 이야기와 책이나 좋은말을 발체하여 가고 있다

 

로만 폴란스카 감독의 피아니스트는 극한 상황에서도 예술은 놓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의 영화로 독일장교와 유대인 피아니스트와 취재내용의 감동의 내용

19세기 낭만주의자들의 주장은 심사 숙고하는것은 오히려 예술을 거스른다

엘렌 위너의 예술 심리학 학지사 서울 참고 문헌

루돌프 아른하인(2005) 예술 심리학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풀라톤 신의 영감으로부터 옴 (통제 불가능한 감(感) 영혼에 강력한 영향

아리스토 텔레스 창작과정에 통제된 기술포함(이성적기술) 비극이 지닌 카타르시스의 정화효과

19세기 낭만주의 시인들은 예술이란 이성적 규칙과 기교만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비이성적인 수단에 의해 강조

예술은 과학보다 앞선다

분트는 19세기 중엽 최초 심리학 실험실로 자연과학의 연구대상인 외적 경험의 대상과 다른 내적 경험인 인간 자산의 감각,감정,사고및 의지 등을 해석하고 분석

프로이드 인간정신을 의시과 무의식으로 나누어 연구

왓슨 논리적으로 증명할 수 잇는 실제의 행동

메이어 행동 자체의 연구보다 행동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억및 사고 연구과정

이재창외 (1995) 인간이해를 위한 심리학 서울 문음사

호불호(좋으냐 나쁘냐)는 우리의 마음과 경험에 달려 있다

미의 기준이 아름다움 속에 있는것은 아니며 취미와 기준은 다양하다

곰브리치 백승길역 (2003) 서양미술사 서울  예경

프로이드 억압된 본능적 소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현실적 대안(승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아동발달사에서 어머니에 대한 무의식적으로 아버지를 경쟁자로 생각한다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세익스피어의 햄릿 도스트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스키너 행동주의 주위 환경의 외적 보상에 따라 동기 형성 강화여부에 따라 변화

오토랭크 창위성의 이론 부모의 반항과 죄의식의 갈등 하며 순응과 자립성취와 죄책감과 열등감이 생김

솔로몬의 애쉬의 실험에서 집단규범에 동조하느냐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느냐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그레이엄 윌러스의 4단계 창작과정 탐색 부화와 조명 단계에서 검증단계다

프로이드의 정신구조는 의식과 전의식 그리고 무의식이 있다

영감이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 내가 있는 나로서 완전히 헐로 있을때 기분 좋을때 그런때야말로 악상이 가장 원할히 풍부히 흐른다 어디서 어떻게 흐르는지 알수 없다 내가 그흐름을 만들수 있는 것도 아니다......또는 상상속에서 그부분을 차례로 듣는것도 아니다 모든것이 동시에 들린다

루트비아 판 베토벤 그는 식당에 앉아 작곡이 깊이 빠진 나머지 주문하는것도 잊고 계산서를 가져다 달라고 할 정도로 열중했다

잔 시 벨리우스 비평가들이 말하는것에 전혀 신경쓰지 말라 비평가를 위해 세워진 동산은 하나도 없다

표트르 차잍코푸스키 내적인 충동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물질 세계가 우울한 운명의 무게로 우리의 예술적 삶을 뭉개지만 않는다면 작품은 믿을 수 없는 속도로 진척될 것이다 다른 모든것은 잊혀지고 영혼을 이해할 수 없고 표현할 수도 없는 흥분으로 전율한다

칼 로저스 비이성적인 내적 감각을 신로할때 지혜를 발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나는 내면의 느낌을 더 깊게 신뢰하면서 생각 자체가 전환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칼융은 내 심장은 갑자기 쿵쿵 뛰기 시잣했다 자리에서 일어나 심호흡을 해야 할 정도였다 흥분은 강렬했다너무나 명확이 보였기 때문이다

아브라함 매슬로 훌륭한 아이디어를 떠오르는데는 시간은 짦다 대부분의 시간은 힘든 노력에 들어간다

토마스 에디슨 과정을 거치어 발명을 하였고 관찰 노력 연구 노력은 필수조건이다 1%의 영감과 99%의 노력이다

루돌프 아임하임 영감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서 오는 것이며 무의식적인 것 뿐 아니라 인지적인 요소와 함께 추론

Ghiselin 은 무의적인 창조는 의식적 창조를 보완하는 활동으로 의식적 창조와 충돌하지 않은다

구스타프 페히터 예술의 즐거움을 형식적 특성으로 보고 실험절차르 통해 연구 계획 실제적 근거를 밝히기 위한 노력  자극 ㅡ반응 모델을 기초로 한 실험 전형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예술대상의 특성을 규명하여 밝은색 선호등 적당한소리를 좋아하는것등을 밝혀 프로이드가 못한것을 해냄

버트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사람이 고요한 주제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정서적으로 불안한 사람은 극적인 작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버렛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예술적 경험이 색의 종합이나 형태의 분별이 아니라 개인의 성격과 관련, 그림의 스타일과 성격적 특징인 전통 권위, 종교의 수용, 거부 사이에 상관이 잇슴을 밝혀냄

아이젠크는 성격이론을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연결된 한차원과 안정성과 불안전성으로 이어진 다른 한 차원이 교차된 주변의 여러 형용사는 제 성격의 특성을 가짐

 

 

 

 

 

'문화와 문학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 심리학 과제   (0) 2013.01.08
미술치료의 개념  (0) 2013.01.03
절전형광등 참고로  (0) 2010.12.20
납스탁과 대게  (0) 2010.10.13
[스크랩] 아토피  (0) 201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