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일저런일/이런일도

95세의 생일을 맞으며 쓴 글

泉玟 김동석 2011. 3. 7. 18:02

 

실제 어느 노인이 95세 생일을 맞으며 쓴 글로 인터넷 카페에 올려져 있는 글입니다.

자 그 글을 직접 볼까요?

------------------

“나는 65세에 직장에서 정년퇴직을 했습니다.

30년 전이지요.

내 분야는 특수한 전문직이어서 남들보다는 더 오래 직장생활을 했습니다.

 

불경기에 직장에서 명예퇴직이니, 구조조정이니 하는 퇴직의 회오리바람이 거세게 불 때도

내가 64세까지 끄덕 없이 버티며 정년에 명예롭게 퇴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직장에서 내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외에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나는 젊어서 직장에 들어가기 전에 그 분야에서는

최고의 실력을 인정 받는 실력자가 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과 힘을 기울였는지 모릅니다.

더구나 나이가 들수록 젊은이들에게 밀리지 않으려고 끝없이 실력을 닦았습니다.

그렇게 노력한 덕에 아무도 그 분야에서 내 실력을 능가한 사람이 없었습니다.

어떤 젊은이도 나를 따라 잡을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그 덕분에 나는 무척 명예스럽게 퇴직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내가 정년이 되자 직장에서는 내게 좀 더 기회를 주려고 했지만 나는 사양했어요.

65세의 나이쯤 되고 보니 나도 직장생활을 그만두고 연금을 받으며

안락한 여생을 즐기다가 남은 인생을 마감하고픈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나는 평생 후회가 없는 삶을 살았기에 언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 내가 30년 후인 95세 생일 때 자식들에게서 생일 케이크를 받는 순간

얼마나 내 인생에 대해 통한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

내 65년의 생애는 자랑스럽고 떳떳했지만

그 이후 30년의 삶은 가장 부끄럽고 후회가 되고 비통한 삶이었습니다.

 

나는 정년퇴직 후에 ‘이제 나는 다 살았다.

남은 생애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 덤으로 주어졌을 뿐이다’

하는 그저 그런 생각만 하면서 하루하루를 허송세월했던 것입니다.

죽기를 기다리는 삶이었던 것입니다.

 

그런 덧없고 희망이 없는 삶을 무려 30년이나 살았던 것입니다.

30년이라는 세월은 지금의 내 나이 95세로 따져 보아도

생애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막대한 시간입니다.

 

내가 95세 생일을 맞으면서 가장 후회한 것은

왜 30년이라는 소중한 인생을 무기력하게 낭비하면서 살았을까 하는 점입니다.

만일 내가 정년퇴직 할 때 앞으로 30년을 더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난 정말 그렇게 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 때 나 스스로가 다른 무엇을 시작하기에 너무 늦었고,

늙었다고 생각했던 것이 큰 잘못이었습니다.

나는 지금 95살이지만 건강하고 정신이 또렷합니다.

 

혹시 앞으로 10년이나 20년을 더 살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나는 내가 하고 싶었던 어학공부를 다시 시작할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내가 혹시 10년 후에라도 왜 95살 때 공부를 시작하지 않았는지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

 

여러분도 95세에 생일 일기를 쓰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한 인구구조 역 피라미드의 심각성으로

노인 봉양에 대한 사회적 패러다임 크게 변할 것이고,

이제 내 노후는 내가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입니다.

 

요즈음 40, 50대 직장인이나 주부들의 가장 큰 관심사가

노후 준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평균 수명 증가라는 행복이 건강이나 경제적인 문제로

자칫 불행으로 둔갑될까 두렵고, 직장을 떠나야 할 시기는 빨라지고,

이것은 예기치 않은 초고령 사회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6년에는 우리나라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고 합니다.

2006년 한국인의 평균 수명(79.1세)이 처음으로

OECD 가입국 평균 수명(78.9세)을 넘어섰고,

 

이러한 추세라면 조만간 한국인의 평균 수명이 80세를 돌파할 것이고

최장수국인 일본(82.4세)과의 격차도 2001년 5.1세에서 2006년 3.3세로 줄었고

24위인 미국(77.8세)보다도 깁니다.

 

이처럼 사회는 빠르게 늙어 가는데 우리들은

아직도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을 남의 문제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됩니다.

개인의 수명은 길어졌지만 노후대비의 소홀 또한 놀랍고 두렵습니다.

 

저출산 고령화로 아직까지 노후를 위한 충분한 자금은 준비되어있지 못한 상황이다 보니

마음이 바빠 노후자금 마련이란 명목 하에

무리한 투자로 커다란 리스크를 안고 있는 것은 아닐런지?

 

그러나 노후준비에 있어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정년 후 30년이 넘는 후반 인생을 무슨 일을 하면서 보낼 것인가에 대한

“생애설계(Life Planning)”를 하는 일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세번의 정년을 맞이한다고 합니다.

첫번째 정년은 타인이 정년을 결정하는 “고용정년”과

두번째 정년은 자기가 스스로 결정하는 “일의정년”과

세번째 정년은 하늘의 뜻에 따라 세상을 떠나는 “인생정년”

을 말합니다.

 

IMF 이후 고용정년은 10년 이상 짧아졌고,

평균 수명은 10년 이상 길어졌다.

이제 우리는 우리 부모님 세대보다 최소 20년 이상 30년 가까운

고용정년 이후의 노후생활을 해야만 합니다.

 

우리보다 먼저 경험하고 있는 선진국 사람들은

젊은 시절부터 인생 후반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즉, 노후자금 마련이라는 직접적인 숙제에 앞서

더욱 길어진 고용정년 이후의 생애를 설계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우리들은 고용정년 후 30년 이상의 기간을 부족한 노후생활자금을 보태기 위해

좀 더 돈을 벌기 위한 인생을 살 것인지,

고용기간 동안 하지 못했던 하고 싶었던

또 다른 일을 통한 자아 실현을 위한 인생을 살 것인가,

 

사회로부터 받은 혜택과 기회를 돌려주는 사회 환원적인 인생을 살 것인가,

아니면 이 세가지를 병행해가며 살 것인가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때입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들은 선배들이 거쳐갔던 것과 같이

유사한 노후를 보내는 시대가 아닌 각자 각자의

개성에 맞는 맞춤형 생애설계를 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펀글-

'이런일저런일 > 이런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의도의 건물에는   (0) 2010.09.29
서울도심에 건널목의 밤  (0) 2010.09.29
고속도로에서 헬리콥터가 이륙을  (0) 2010.09.05